지진을 대비, 원격지 클러스터를 구성하여, 재해 발생 시에도 전 거점에서 영업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
● 도입 배경
- Kochi HQ에 재해 발생 시, 10개 거점의 모든 업무가 중단되는 리스크가 있음
- Kochi 본부에서 시스템을 중앙 관리하고 있으나, 타 거점은 백업을 실시하지 않고 있음
- 시스템 장애를 상시 감시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지 않음
● 도입 효과
- Kochi HQ 및 Kagawa Sales Office에 각 서버를 설치한 뒤, 원격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
- Kochi HQ와 Kagawa Sales Office 서버 데이터는 미러링으로 구성하여 최신 데이터로 업무 재개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, 만약의 장애 발생 시, 약간의 다운 타임이 발생하지만 시스템이 자동 Failover 되어 복구되도록 구성
- 원격지 시스템도 상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하여 전산실 관리자의 유지 보수 작업 부하를 경감
[일본] 전일본 식품
일본 최대 Voluntary 체인의 IT 인프라를 NEC HA 클러스터로 가용성 향상
● 도입 배경
- 전국에 개인 상점 및 소형 슈퍼 등의 약 1,800 점포가 가맹된 Voluntary 체인에서는 확실한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HA Cluster SW의 도입이 필요
- 기존 사용하던 HA Cluster SW는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 기반으로, 실제 장애 발생 시에 원활하게 자동 복구가 되지 않아 복구에 장시간 소요
● 선정 이유
- 여러 서버에 OS가 혼재되어 있으므로, 다중 플랫폼에도 적용 가능한 HA Cluster SW 제품
-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제품의 검증 및 테스트를 통과하고 풍부한 도입 실적이 있는 제품
- Web 브라우저 기반의 GUI 조작이 가능
● 도입 효과
- 직관적인 GUI를 이용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, 작업 시간 단축 및 부하가 경감
-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혼재된 다중 플랫폼에서 클러스터를 구축함으로써, 기간계 시스템의 가용성 및 운영성이 향상
[일본] Fuji 약품
NEC Cluster + Scalable 서버의 구성으로 뛰어난 성능과 가용성을 갖춘 시스템을 구축하여, 전사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고도화 성공
● 도입 배경
- 미션 크리티컬 기존 DB 서버의 성능이 한계에 도달
- 사업 확장에 따른 원활한 시스템 통합 및 운영 관리 필요
- 약 1200 점포의 발주 업무의 효율화
● 선정 이유
- 기존 시스템의 처리 성능을 크게 웃도는 DB 시스템 제안
- DB 서버, 가상 서버 등 발생 가능한 다양한 장애 대책을 설계 및 제안하여, 고 가용성 클러스터 시스템을 구현
- 고속 DB 제품(InterSystems Cache) 제공 업체와 NEC가 사전에 합동 검증 테스트를 완료해서 안심하고 도입
- 10년 이상 NEC FT 서버 및 일반 서버를 운영하고 있으며, NEC 서버의 가동 실적 및 검증된 SI 안정감
● 도입 효과
- 20시간 걸리던 판매 관리 데이터의 Batch 작업이 2시간 만에 완료되는 등, 전사적 월별 회계 처리 속도가 크게 단축되어, 경영진의 신속한 의사 결정이 가능
- 가상화 환경에서 그룹사의 신규 업무 시스템을 출시하게 되어, 중요 시스템의 통합을 빠르게 완료
- DB의 처리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, 발주 업무의 자동화 등의 추진이 가능
[일본] Plaza Create
성수기의 부하 집중에 대비하기 위해 NEC의 고가용성 클러스터링 소프트웨어인 EXPRESSCLUSTER를 도입하여, 업무 중단 및 지연 현상이 없는 시스템을 구축
● 도입 배경
성수기에 운영중인 매장 및 온라인 서비스의 주문이 폭주하기 때문에, 시스템의 부하 집중에 따른 시스템 업무 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고도화를 검토
● 도입 효과 / 시스템 구성
백엔드 시스템에 EXPRESSCLUSTER를 도입하고, 데이터베이스로 MySQL을 도입함으로써, 강력한 고도화 시스템을 구축하여, 부하 집중에 따른 시스템의 업무 중단 및 지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 환경을 구현
[일본] USHIO
FileMaker®의 장애 발생 시에도 생산라인의 24시간 생산이 가능
● 도입 배경
- 2011년 USHIO는 특수 산업용 램프 생산 라인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FileMaker®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제조 공정 관리 지원 시스템을 구축
- 생산 효율성은 좋아졌지만, 신규 도입한 시스템의 장애에 따른 생산 라인이 업무 영향도가 매우 커짐
● 도입 이유
- FileMaker®의 이중화 구성 및 자동 복구가 가능한 유일한 제품이 EXPRESSCLUSTER
● 도입 효과 / 시스템 구성
- FileMaker®의 시스템 장애 발생 시에도 생산라인의 24시간 생산으로 비즈니스 연속성이 보장
- 안정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, 사내의 미션 크리티컬한 시스템과의 연계도 가능
- NEC 클러스터를 도입하고, 다른 생산 라인과의 시스템 연계가 가능하게 되었으며, 원활한 IT 시스템 운영이 가능
[인도] AV Global
화물 추적 및 통관 예약 관리 등 물류 관련 주요 서비스에 대한 가용성 향상을 위해 NEC EXPRESSCLUSTER를 도입
● 도입 배경
AV Global에서 제공하는 각종 물류 관련 서비스는 통관 예약 관리 및 화물 추적 등의 다양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, 시스템의 장애를 복구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, 시스템 개선을 위해 HA Cluster의 도입이 필요
● 도입 효과 / 시스템 구성
EXPRESSCLUSTER의 도입으로 장애 발생 시에도 신속하게 자동으로 Failover가 되고, 다운 타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었으며, 유지 보수 시의 다운 타임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, 향후에 DR(재해 복구) 시스템으로 확장도 가능하므로, 향후의 서비스 레벨의 향상을 위해서도 효과적인 솔루션 도입이라고 판단
[미국] 연방 정부 기관 (원격 클러스터)
Lenel사의 OnGuard를 사용하는 연방 정부 기관의 게이트 인증 시스템에 FT 서버와 EXPRESSCLUSTER를 도입하여 원격 클러스터 구축으로 재해 대책을 마련
● 도입 배경
게이트 인증 시스템에 재해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하여, 원격 사이트에서 비즈니스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재해 대책의 필요성 대두
● 도입 효과 / 시스템 구성
EXPRESSCLUSTER를 도입하여 원격 클러스터를 구성함으로써, 사이트 다운 등의 재해가 발생해도 ①최소한의 다운타임 및 ②데이터 정합성 보장으로 백업 사이트에서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하는 DR(재해 대책) 솔루션을 구축
※ 메인 사이트의 서버는 FT 서버를 도입하여 고가용성 시스템으로 구성
[중국] 스마트 초대형 선박 VLOC
세계 선박시장 트렌드는 스마트 선박(SMART SHIP)으로 변화
- 스마트 선박기술, 친환경, 운항경제성, 안전성강화, 에너지 절감/고효율화
● Background
- 2018년 12월, 40만톤급 스마트 초대형 선박 VLOC 출항 예정
- 과제 : 선박 및 화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각 센서의 상태 감시 및 센서 관리 시스템 구축 (온도, 습도, 가연성 가스 등)
- 출항 후에는 유지보수 및 수리가 불가능하여, 관리 시스템의 가용성을 보장하는 솔루션을 검토
● Why NEC
- EXPRESSCLUSTER는 DB의 상세 모니터링이 가능한 에이전트를 제공하며, 고객이 자체 개발한 관리 시스템도 유연하게 모니터링 가능
- 상세 모니터링 기능으로 장애 발생 시, 사용자가 지정한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Failover가 가능
- 클러스터 시스템 구성을 유연하게 확장 및 변경이 가능
● Benefits
- 고 가용성 시스템의 자체 개발에 비해 비용 절감
- Web GUI를 통한 통합 모니터링으로 운영 비용 절감
- 센서 관리 시스템 고장으로 인한 선박 정지 리스크 감소
[중국] 의료 시스템
● 도입 효과
- HIS, LIS, PACS/RIS, EMR 및 기타 시스템의 고 가용성 시스템 구성
- MSSQL 데이터베이스 + IIS 서비스 양방향 스탠바이 클러스터 시스템 구성
- 데이터 안정성 및 확장성을 위해 내장 디스크 + 공유 스토리지 결합
- 원격 시스템 관리 기능이 제공되어 운영 및 유지 보수 담당자가 시스템 상태를 쉽게 점검
[일본] 주요 증권 회사 (가상 머신의 HA)
● 도입 배경
- 서버 기술지원종료(EOS)로 인한 가상 환경으로의 마이그레이션 필요성 발생
- VMware HA가 가상 서버 내에서의 장애를 처리할 수 없어 NEC EXPRESSCLUSTER를 도입
- EXPRESSCLUSTER의 도입으로 증권 거래 시스템의 Oracle 및 WebSphere 서버 400대의 가용성 확보
[프랑스] 앵드르 지역 협의회 (고가용성 시스템 구성)
이기종 시스템 환경에서의 서버 장애와 유지보수에 의한 서비스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 가용성 솔루션 도입
● 도입 배경
이기종 시스템 환경에서의 서버 장애와 유지보수에 의한 서비스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 가용성 솔루션 도입 필요
● 고객 요구 사항
▶ CG36 : Conseil General de l’Indre (앵드르 지역 협의회)
- 매우 빈번한 데이터베이스 쿼리, 지속적인 프린트 서비스 사용
- 이기종 OS: Linux 및 Microsoft
- CG36의 파트너가 요구하는 신속한 서비스 프로세스 제공
▶ Goal :
- 데이터베이스 및 프린트 서비스의 준 영구적인 가용성 보장
● EXPRESSCLUSTER : Clustering + Mirroring
▶ Clusters LINUX (Red Hat 2.1) :
- Oracle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의 클러스터링 구성, Active 서버의 장애와 유지보수 시에 Standby 서버로의 자동 Failover
- 데이터베이스 미러링
▶ Cluster WINDOWS :
- 프린트 서버의 클러스터링 구성, Active 서버의 장애와 유지보수 시에 Standby 서버로의 자동 Failover
- Spool queue의 미러링